본문 바로가기
아이 육아/열이 나요!

신생아 열이 날 때, 응급실을 가야 할까요?

by i4rang 2025. 3. 7.
반응형

– 연령별 대처법과 정확한 체온 관리 가이드 –

아기가 갑자기 열이 나면 부모님은 당황하기 마련입니다. 특히 해열제를 먹여도 열이 내리지 않거나, 밤중에 열이 오를 경우 응급실을 가야 할지 고민되죠. 이번 글에서는 연령별 발열 대처법, 체온 측정법, 응급실 방문 기준을 상세히 정리해보겠습니다.


1. 아기 발열, 원인은 무엇일까요?

아기가 열이 나는 이유는 다양합니다. 일반적인 원인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1) 감염성 발열 (가장 흔한 원인)

  • 감기, 독감, 바이러스 감염 (기침, 콧물, 가래 동반)
  • 중이염, 요로감염 (귀를 자주 만지거나 소변 볼 때 울음)
  • 돌발진 (3~4일간 고열 후 몸에 발진이 나타남)

2) 예방접종 후 발열

  • 생후 6개월 전 아기들은 예방접종 후 열이 날 수도 있음
  • 대개 하루 이내 가라앉지만, 38.5도 이상 지속되면 병원 방문

3) 과열 & 환경 요인

  • 너무 두껍게 입혔을 때
  • 실내 온도가 높을 때

2. 체온 측정, 올바르게 하는 방법은?

아기의 정확한 체온을 측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사용하는 체온계에 따라 측정 방법과 정상 범위가 다를 수 있습니다.

측정 부위  측정 방법  정상 체온 범위
귀 체온계 귀 안쪽에 정확히 맞춰 측정 36.1~38.0도
이마 체온계 이마 중앙에서 측정 후 관자놀이 방향으로 이동 35.8~37.8도
겨드랑이 체온계 겨드랑이 중앙에 깊숙이 넣고 2~3분 유지 36.5~37.5도
항문 체온계 (가장 정확함) 바셀린을 묻혀 항문에 1~2cm 삽입 후 측정 36.6~38.0도
  • 같은 부위에서 반복 측정하여 정확성을 확인하세요.
  • 귀체온계와 이마체온계는 외부 온도의 영향을 받을 수 있어, 실내에서 몇 분 안정된 후 측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3. 연령별 아기 발열 대처법

아기의 연령에 따라 발열의 위험도와 대처법이 다를 수 있습니다.

ㅇ 생후 3개월 미만 아기 (응급실 방문 필요)

  • 체온이 38도 이상이면 즉시 응급실 방문
  • 이유: 신생아는 면역력이 약해, 세균 감염 가능성이 높음

ㅇ 생후 3~6개월 아기

  • 38.5도 이상이면 해열제 복용 가능 (타이레놀 계열)
  • 해열제를 먹여도 열이 지속되면 소아과 방문
  • 기저귀가 6시간 이상 젖지 않으면 탈수 의심 (수유 횟수 체크)

ㅇ 생후 6개월 이상 아기

  • 이부프로펜(부루펜) 사용 가능 (6개월 이상부터)
  • 4시간 간격으로 해열제 복용 가능 (타이레놀 & 이부프로펜 교차 가능)
  • 수분 섭취 & 미온수 마사지로 체온 관리

4. 해열제 복용 가이드

아기에게 해열제를 복용할 때는 나이와 체중에 맞는 용량을 정확히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약물 종류  사용 가능  연령 용량 (체중 기준)   복용 간격
아세트아미노펜 (타이레놀) 생후 2개월 이상 10~15mg/kg 4~6시간
이부프로펜 (부루펜) 생후 6개월 이상 5~10mg/kg 6~8시간
  • 해열제를 사용할 때는 최소 4시간 간격을 유지하세요.
  • 교차 복용(타이레놀 & 부루펜)은 만 6개월 이상부터 가능하며, 2시간 간격으로 번갈아 사용 가능.
  • 생후 6개월 미만 아기는 이부프로펜 사용 금지!

5. 응급실 방문이 필요한 경우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는 즉시 응급실을 방문해야 합니다.

  • 생후 3개월 미만 아기가 38도 이상 발열
  • 해열제를 먹여도 39도 이상 지속될 때
  • 호흡이 빠르거나 숨쉬기 어려워할 때
  • 잘 깨지 않고 축 처지는 경우
  • 경련(열성경련)이 나타날 때
  • 발진, 구토, 설사 등 심한 탈수 증상이 있을 때

ㅇ 응급실 방문 전 체크 리스트

  • 아기 체온 기록 (몇 시에 몇 도였는지)
  • 해열제 복용 여부 (언제, 어떤 약을 얼마나 먹였는지)
  • 기침, 콧물, 설사 등 동반 증상 체크
  • 평소와 다른 행동(축 처짐, 보챔 등) 기록

6. 병원 방문 시 알아두면 좋은 정보

1) 소아과 vs 응급실 – 어디로 가야 할까?

소아과 방문이 적절한 경우

  • 열이 38~39도 사이에서 오르내릴 때
  • 기침, 콧물 동반 감기 증상이 있을 때
  • 해열제 복용 후 체온이 내려갈 때

응급실 방문이 필요한 경우

  • 열이 39~40도 이상 지속될 때
  • 아기가 축 처지거나 의식이 희미할 때
  • 경련, 호흡 곤란, 심한 탈수 증상이 있을 때

2) 응급실 방문 시 준비물

  • 아기 주민등록증 또는 의료보험증
  • 해열제 복용 기록 (약 이름, 시간, 용량)
  • 기저귀, 물티슈, 아기 담요
  • 분유 or 수유 용품 (긴 대기 시간 대비)

7. 줄이며 – 우리 아기, 건강하게 지켜줄 수 있어요!

아기가 열이 나면 부모는 정말 걱정되고 불안할 수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열은 감염에 대한 정상적인 면역 반응이며, 올바르게 대처하면 심각한 문제 없이 지나갈 가능성이 큽니다.

  • 해열제 복용 시점을 체크하고, 환경을 조절하면서 경과 관찰
  • 응급 상황(고열 지속, 축 처짐, 경련 등) 발생 시 즉시 병원 방문
  • 아기가 편안하게 회복할 수 있도록 부모도 침착하게 대응

우리 아기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끝까지 지켜볼 수 있습니다. 혹시 비슷한 경험이 있으신가요? 댓글로 공유해주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