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독감과 고열 – 언제까지 지속될까?
독감(인플루엔자)은 38.5°C 이상의 고열이 3~5일간 지속될 수 있으며, 심한 기침과 근육통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
독감으로 인한 고열은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면역 반응이므로, 해열제는 증상을 완화할 뿐 독감을 치료하는 약은 아닙니다.
✅ 독감과 감기의 차이점
구분 독감 (Influenza) 감기 (Common Cold)
발열 | 38.5°C 이상 지속 | 38°C 이하 또는 없음 |
증상 | 고열, 근육통, 심한 기침 | 콧물, 가벼운 기침 |
회복 기간 | 1~2주 소요 | 3~5일 내 호전 |
👉 타미플루(항바이러스제)는 독감 확진 후 48시간 내 복용 시 효과적
👉 해열제는 고열로 인한 불편함을 줄이기 위한 보조 수단
2. 고열이 지속될 때 해열제 교차복용 방법
📌 1) 기본 복용 간격 및 원칙
시간 복용 약물 비고
07:00 | 아세트아미노펜 | 체중당 10~15mg (1회 최대 15mg/kg) |
09:00 | 이부프로펜 | 아세트아미노펜 복용 2시간 후, 체중당 5~10mg (공복 금지) |
13:00 | 아세트아미노펜 | 최소 4시간 간격 유지 (1일 최대 5회) |
15:00 | 이부프로펜 | 최소 6시간 간격 유지 (1일 최대 4회) |
👉 핵심 원칙:
- 교차복용은 해열 효과를 높일 수 있으나, 단일 약물 사용과 유의미한 차이가 없을 수 있음. 과다 복용 주의
- 덱시부프로펜 포함 시 이부프로펜과 동일 계열로 간주하여 교차복용 불가
📌 2) 체중별 해열제 용량 및 일일 최대량
체중 아세트아미노펜 (1회) 일일 최대 이부프로펜 (1회) 일일 최대
5kg | 80mg (2ml) | 400mg | 50mg (1.25ml) | 200mg |
10kg | 160mg (4ml) | 800mg | 100mg (2.5ml) | 400mg |
15kg | 240mg (6ml) | 1,125mg | 150mg (3.75ml) | 600mg |
20kg | 320mg (8ml) | 1,500mg | 200mg (5ml) | 800mg |
⚠️ 주의:
- 각 제품의 농도가 다를 수 있으므로 반드시 제품 설명서 확인 후 사용
- 아세트아미노펜 75mg/kg/일, 이부프로펜 40mg/kg/일 초과 금지
- 아스피린은 라이 증후군 위험으로 소아에게 절대 사용 금지
3. 해열제와 함께 해야 할 추가적인 열 관리 방법
📌 1) 미온수 마사지 – 정확한 실행법
✅ 언제 해야 하나?
- 해열제 투여 후 30분~1시간이 지나도 체온이 38.5°C 이상일 때 보조적으로 시행
✅ 미온수 마사지 방법
- 준비: 체온보다 1~2°C 낮은 미지근한 물(30~33°C) 준비
- 부위: 이마, 목 뒤, 겨드랑이, 사타구니 순으로 5분간 닦기
- 금지 사항:
- 알코올, 차가운 물 사용 금지
- 30분 이상 지속하거나 욕조에 담그지 않기
- 팔·다리·배 부위 마사지 금지 (오히려 열을 올릴 수 있음)
📌 2) 수분 공급의 구체적 전략
✅ 유아 (12개월 이하)
- 수유 간격 단축 (2시간마다 10~15mL/kg 체중)
✅ 소아 (12개월 이상)
- 이온음료(소디움 45~60mEq/L 포함) 15~20mL/kg 체중 제공
- 구토 시 5분 간격으로 1~2티스푼씩 급여
⚠️ 탈수 증상 주의:
- 입술이 건조하고 갈라짐
- 소변 양이 줄거나 6시간 이상 보지 않음
- 눈물 없이 우는 경우
- 무기력하고 처져 있음
4. 응급실 방문이 필요한 경우
✅ 즉시 방문해야 하는 경우:
- 체온이 40°C 이상 + 3시간 내 열이 떨어지지 않음
- 의식저하, 경련, 호흡곤란, 청색증(입술·손발이 파래짐)
- 피부 발진, 목이 뻣뻣함, 지속적인 구토
- 소변 6시간 이상 없음 (탈수 위험)
✅ 낮 시간대 방문이 권장되는 경우:
- 5일 이상 고열 지속
- 독감 진단 후 48시간 경과했으나 증상 악화
5. Q&A - 자주 묻는 질문
Q1. 교차복용해도 열이 계속 나요. 응급실 가야 하나요?
- 48시간 이상 38.5°C 초과 시 세균 감염 합병증 가능성 있음 → 소아과 재방문 필수
Q2. 타미플루를 먹으면 열이 빨리 떨어지나요?
- 타미플루는 바이러스 증식을 억제하는 약으로, 해열제처럼 즉각적인 열 조절 효과는 없음
Q3. 빈속에 해열제를 먹여도 되나요?
- 아세트아미노펜: 공복 복용 가능
- 이부프로펜: 위장 장애 가능성이 있어 식후 복용 필수
Q4. 해열제 대신 약국에서 파는 감기약을 줘도 되나요?
- 소아용 복합 감기약은 해열제 성분 중복 위험이 높으므로 반드시 의사와 상의 후 사용
6. 줄이며... 독감 발열, 안전하게 관리하는 방법
📌 핵심 정리:
- 교차복용은 필요 시 가능하지만, 단일 해열제와 큰 차이가 없을 수 있음
- 해열제 용량을 반드시 확인하고 일일 최대량을 초과하지 않도록 주의
- 미온수 마사지는 정확한 방법으로 시행하며, 30분 이상 지속하지 않기
- 탈수 증상을 확인하고, 이온음료나 물을 적절히 공급
- 40°C 이상 고열, 경련, 의식저하 시 즉시 응급실 방문
소아 독감은 힘든 과정이지만 올바른 해열제 사용과 체온 관리로 안전하게 대처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아이 육아 > 열이 나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로바이러스 감염 시 아이 식사 – 어떻게 해야 할까? (0) | 2025.02.10 |
---|---|
18개월 아기 발열 대처법 – 미열부터 고열까지 정확한 대응 (0) | 2025.02.07 |
돌치레 vs 돌발진 vs 접종열 – 아기 발열 원인과 대처법 (0) | 2025.02.06 |
아기 해열제 교차 복용 방법: 안전하게 열을 낮추는 방법 (2) | 2025.01.02 |
아기가 열이 나요! 어떻게 해야 할까요? (5) | 2024.11.26 |